배경 : 스프링배치 스터디를 시작한다. 내가 로컬에서 작업한 소스 이력을 github에 올리기 위해 하려고 했는데.. 처음부터 하려니 뭔가 막막했다. 참고 블로그 보고 따라해보자. git cmd 에서 직접 따라 타이핑 하면서 소스 올려보자.
참고 :
[Git] GitHub 레파지토리(Repository) 생성하고 소스 올리기
Git >Git은 개인 혹은 팀 간의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툴입니다. 따라서 개발자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익숙해져야 할 기술 중 하나입니다. > 이번에는 git을 이용해
velog.io
내용 :
1. github 사이트에서 레파지토리 새로 생성함
2. git 설치 후 버전 확인 및 초기화
Repository (프로젝트 저장소)
- Local Repository : 본인 컴퓨터에 저장된 로컬 프로젝트 저장소
- Remote Repository : 로컬이 아닌 외부 서버의 프로젝트 저장소
3. Staging Area에 해당 코드들을 commit 해주기 위해서 아래 명령어 셋팅
git add . #폴더 내 있는 파일 전체 add
파일이 staging area 에 올라가면 빨간색에서 녹색으로 바뀌게 된다 (아래 스크린샷 참고)
commit을 해보자
git commit -m "first commit"
4. repository 에 코드 push 하기
로컬환경에 이미 Git repository가 존재한다면 ...or push an existing repository from the command line 부분에 있는 순서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git remote add origin [repository 주소]
git remote -v
git push -u orign master
### 실제 사용한 명령어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kho5420/git_test_repo.git
git remote -v
git push -u origin master
야이씨 ㅠㅠ 회사 SSL 문제로 push 집에서 해야함 아오 ㅠㅠ
아래 내용은 push 되면 집에서 하고 올리기.
'기타 > 01.Git(Git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커밋 한거 롤백 하는 방법 (0) | 2024.10.21 |
---|---|
[Github] unable to access 'https://github.com/*********/': SSL certificate problem: self 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1) | 2024.10.11 |
[GitLab] 콘솔에서 소스 merge 하기 (0) | 2024.05.13 |
[GitLab] Web 콘솔화면 에서 신규 branch 생성 (0) | 2024.04.09 |
[Git] Git Fetch와 Git Pull 의 차이점 (2) | 2024.01.26 |